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dataframe #파생변수 #map #lambda #mapping
- Chap4 #핸즈온머신러닝 #머신러닝 #핸즈온머신러닝연습문제
- 라쏘회귀 #엘라스틱넷 #조기종료
- Chap4 #ML #배치경사하강법 #경사하강법 #핸즈온머신러닝 #핸즈온
- Chap4 #ML #미니배치경사하강법 #경사하강법 #머신러닝 #핸즈온머신러닝
- 티스토리 #수학수식 #수학수식입력 #티스토리블로그 #수식입력
- 확률적경사하강법 #경사하강법 #머신러닝 #선형회귀 #ML #Chap4
- Chap4 #릿지회귀 #정규방정식 #확률적경사하강법 #SGD #규제가있는선형모델
- ML #핸즈온머신러닝 #학습곡선 #편향분산트레이드오프
- Chap4
- 객체의종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Python #파이썬 #list #tuple #dictionary #set
- 키워드추출 #그래프기반순위알고리즘 #RandomSurferModel #MarcovChain #TextRank #TopicRank #EmbedRank
- Chap4 #다항회귀 #PolynomialRegression #ML #머신러닝
- 경사하강법 #핸즈온머신러닝 #머신러닝 #ML
- python #파이썬 #pandas #dataframe #dataframe생성 #valueerror
- 파이썬 #Python #가상환경 #anaconda #python설치 #python가상환경
- adp #데이터분석전문가 #데이터분석자격증 #adp후기 #adp필기
- 선형회귀 #정규방정식 #계산복잡도 #LinearRegression #Python #ML
- 인덱싱 #슬라이싱 #python #파이썬 #수정및삭제 #원소의수정 #객체의함수 #keys#values#items#get#len#append#sort#sorted
- 티스토리블로그 #티스토리 #PDF #블로그PDF저장
- IDE #spyder
- 핸즈온머신러닝 #handson
- Today
- Total
StudyStudyStudyEveryday
ChatGPT, Perplexity 비교(특징, 장단점, 라이선스 등) 본문
※ 2025.03 기준 정보이고, 이후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 참고로 저는 perplexity만 유료로 사용중입니다.. (서술하는 정보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내가 아는 것들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다.
각각 홈페이지에서 찾기 너무 힘들고.. 특장점이 너무 자주 바뀌어서 시계열로 기록차 적어본다.
물론 나는 사람이기 때문에 실수가 있을 수 있다. (휴먼에러)
그럼 바로 본론시작!
# 1. ChatGPT, Perplexity 특징 및 장단점 비교
구분 | ChatGPT | Perplexity |
특징 | - 공감성 대화 포함 대화가 더 잘 통함 -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일반적인 질의에 퀄리티있는 대답을 해줌 - 타 생성형AI에 비해 창작을 잘함 |
- 실시간 웹기반 검색 - 투명한 출처 제공(ChatGPT도 있지만 Perplexity가 더 잘해줌) |
추천 사용자 | 글쓰기, 마케팅, 창작, 코딩, 기타 범용적 목적 사용 | 검색, 요약, 자료조사 등 리서치 위주 업무 담당자 |
정확도 | - 대부분 잘 대답해주나 환각의 가능성은 항상 존재. 중요한 질의의 경우 교차검증 필요. -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출처기반 정확도를 보이긴함 |
- 웹기반 검색/출처 제공이 메인 특징인 만큼 출처를 신뢰한다면 정확함. 하지만 웹에 정확한 정보만 있는 것은 아니니 사실 확인은 필요. |
무료 기능 | - 검색(Search GPT): 실시간 웹 서칭 기능. 출처도 같이 달아줌. - 이성: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더 길게 생각하는 기능. 수치, 사실, 논리 등에 기반한 좀 더 신중하고 논리적인 대답이 나온다. (DeepResearch랑 헷갈리는데, 그건 아니다.) - 첨부: Excel, Word, PDF 등 첨부파일을 업로드해 분석 - 이미지 생성: 기존에는 유료버전만 가능했었는데, 최근 무료 버전에서도 GPT-4o 모델로 이미지 생성을 지원해줌(사용량 제한 존재) |
* 검색기능은 질의시 기본으로 사용됨 - 발견(Discover): 테크&과학, 금융, 예술&문화,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주제를 대상으로 최신 이슈들을 팔로우업 가능. 정보 공유 및 커뮤니티(?) 생성을 통해 앱에 더 오래 머무르게 하려는 차원에서 운영하는 것 같다. - 공간(Spaces): 프로젝트별 그룹화, 파일 업로드 및 검색, 팀 협업, 맞춤형 AI 지시 등 다양한 기능 존재 - 도서관(Library): 스레드 및 페이지 저장 |
유료 기능 | - GPTs: 나만의 커스텀 생성형AI챗봇(CustomGPT). 특정 목적 특화 챗봇을 만들어 반복 작업을 간소화 등 내 입맛에 맞게 생성가능. (GPT스토어를 통해 이미 개발된 CustomGPT 검색, 다운도 가능) - 프로젝트(Project): 주제별로 프로젝트를 관리해서 대화맥락 유지하며 작업 가능 - 심층 리서치(DeepResearch): 어느 주제에든 상세한 인사이트를 줌 - Sora: OpenAI에서 만든 비디오 생성형AI |
- 다양한 모델 선택: Sonar, GPT, Claude, Grok, Gemini, R1 등 다양한 모델 사용 가능 - 심층 리서치(DeepResearch): ChatGPT와 동일하게 딥리서치를 지원한다. 아직 직접 해보진 않았는데, Perplexity가 좀 더 잘해준다고 한다. |
더 설명하고 싶은 상세는 2, 3에 정리해두었다.
# 2. ChatGPT
# 2-0. 기본
1) 이미지 그리기(아이디어 및 콘셉트 시각화하기) 라는 버튼이 생겼다. (그냥 OO그려줘 라고 해도 그려주긴한다.)
콘셉 시각화 하라는 이야기를 하길래 도식화해주는 그런건줄 알고
"나는 지금 고객의 생명보험 가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있어. 조사-기획-구성-실행-결과도출-효과평가 단계로 좀 상세한 계획을 짜고 싶은데, 이를 도식화해줘"
라는 프롬프팅을 했는데, 왼쪽과 같은 그림을 그려줬다.
생성형AI로 그렸을 때 나오는 묘하게 텍스트 가져다가 그럴듯하게 이상한 이미지 만든 느낌.
이런류는 아직 어려운 것 같고 ..
" 나는 아이를 위한 동화를 만드는 작가야. 동화 내용은 어린 소녀가 푸른 시골마을에서 양 떼를 키우면서 평화롭게 살아가는 내용이지. 동화 표지를 할만한 이미지를 그려줘. 안에 빨간 지붕이 있는 집도 같이 그려주면 좋을 것 같아"
라는 내용에는 오른쪽과 같이 꽤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생성해줬다.
정확한 그림을 기대하기보다 "~느낌의 그림을 그려줘"와 같은 느낌적인 느낌의 그림을 그릴 때 유용해보인다.
2) 캔버스(글쓰기 및 코딩 협업)
① 글쓰기 및 코딩이라길래, 간단하게 소설을 써보고 싶어졌다.
얼마 전 읽을 책을 찾다가 훑었던 내용을 짜깁기해서 주제를 만들어봤다.
" 나는 소설을 작성하고싶은데, 평범하기 살기위해 노력했던 대한민국 30대 중반 여성의 삶을 녹여낸 작품을 만들고싶어. 학창시절엔 "평범"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서 적당히 괜찮은 인서울 대학교에 들어가고, 대학생 때도 적당히 노력해서 적당한 회사에 들어가고, 적당한 연애 끝에 적당한 남성과 결혼해서 아이를 낳았는데. 그 시점에 본인의 행복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는 내용이야. 이걸 감성적이게 작성해줘"
맨 처음에는 프롬프트 기반으로 거의 나열하는 형식의 짧은 소설을 만들어줬는데, 마음에 안 들어서 만들어준 글의 단락마다 프롬프트로 수정을 해봤다. 계속 디벨롭 할수록 내용이 점점 괜찮아진다!
글쓰기라 그런지, 단락마다 수정할수 있게 해둔게 꽤 유용하다.
결과는 링크에서 읽어볼 수 있다.
https://chatgpt.com/canvas/shared/67ea276e6a84819188c840997cf9d05a
② 소설 말고, AI전략을 세워보자.
"대한민국 통신사의 AI 전략에 대해 글을 작성해줘. 향후 3년간의 계획을 써야하고, 사내 구축해야할 거버넌스, 인프라, 인력, 과제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해줘. 난 영역별로 3년 후 목적이 있어야해."
큰 테두리에 대한 간단한 목차정도의 전략을 세워줬다.
각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적어달라는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좀 더 잘해주긴했는데, 지금 무료 버전을 사용중이라 오늘 할당된 횟수를 다 사용해버렸다.
좀 더 디테일하게 요청하면 더 그럴 듯한 전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결과는 링크에서 읽어볼 수 있다.
https://chatgpt.com/canvas/shared/67ea2869e1088191881e2da066606987
# 2-1. ChatGPT 유료 (2025.03.27. ver)
# 2-2. ChatGPT 사용팁
1. 무료 라이선스의 경우, 프롬프트가 모델에 학습됨. 이게 싫을 경우 설정으로 OFF가능
: [설정]-[데이터 제어]-[모두를 위한 모델 개선]-[꺼짐]
2. ChatGPT는 기본적으로 채팅을 할수록, 나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억해 나에게 맞춤형 대답을 준다. 그래서 내 정보를 줄수록 더 마음에 드는 대답을 한다. (날 잘 아는 친구같은 느낌)
하지만, 나에 대해 아는게 싫다면?
: [설정]-[개인 맞춤 설정]-[메모리] OFF
메모리 관리에서 지울 수도 있다.
'나에 대해 알고 있는 걸 다 말해봐' 라고 프롬프트 입력하면, 대강 어떤 느낌인지 알 수 있다.
3. 최근 유행하는 이미지 변형
무료버전 chatgpt에서도 이미지 생성/변형이 가능하다. 멀티모달 모델인 GPT-4o 모델을 사용하는데, 무료는 일일횟수제한이 적긴하다.
원하는 이미지 하나 올리고 "지브리 스타일로 변형해줘"라고만 하면 꽤 잘해준다.
재미있으니 한 번 시도해보면 좋을 것 같다. (이것 덕분에 더 AI 관심없는 사람들도 관심 갖게 될 듯..)
궁금한점은 저작권 문제 없는게 신기하다. 어쩌면 조만간 막힐지도 ..? (내 추측이다.)
# 3. Perplexity
# 3-0. 기본
이 글을 정리하면서 알게된건데, 모바일 버전이랑 웹버전이랑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차이가 꽤 난다.
모바일 | 웹 | |
스레드 사용가능 모델 | 자동, Pro, 심층 연구, R1과의 추론, o3-mini과의 추론 |
Sonar, GPT-4o, Claude 3.7 Sonnet, Gemini 2.0 Flash, Grok-2, R1 1776, o3-mini, Claude 3.7 Sonnet |
집중 (질의 목적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대답을 얻을 수 있도록 카테고리화를 해뒀다.) |
- 전체: 인터넷 전체에서 검색 - 학술: 출판된 학술 논문에서 검색 - 글: 웹 검색없이 텍스트 생성 또는 채팅 - 수학: 방정식을 풀고 숫자 답 찾기 - 비디오: 동영상 찾기 및 시청 - 소셜: 토론 및 의견 검색 |
웹, 학문모드, 소셜 |
모바일이랑 웹이랑 다른게 많은게 신기하다 (심지어 기능 차이가 난다면 웹이 다 기능이 더많을 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다.)
반대로 모바일버전에 비해 웹버전은 선택할 수 있는 모델이 더 많다.
# 3-1. 공간(Space)
- 내부 문서를 업로드 가능하다. 내 문서와 함께 웹 검색을 병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 협업이 가능하다. 공간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함께 질문/대답을 공유할 수 있다.
- 굳이 협업을 안 해도, 나 혼자 프로젝트 관리하는 형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공간 내 스레드에서 얻은 결과물을 토대로 페이지에 게시가 가능하다. 스레드에서는 자유롭게 질의하다가, 팀원들에게 공유해주고 싶은 내용을 블로그처럼 게시할 수 있어서 좋아보인다.
* 공간에 들어가는 정보: 제목, AI모델, 설명, AI 프롬프트(지침)
AI모델의 경우, 계속 가능한 모델이 바뀐다.
현재 사용 가능한 모델은 다음과 같다.
기본(Sonar), GPT-4o, Claude 3.7 Sonnet, Gemini 2.0 Flash, Grok-2, R1 1776, o3-mini, Claude 3.7 Sonnet (추론모델)
추론 모델은 웹에서만 이용가능한 듯하다. (모바일에는 선택지가 안 뜬다. 나만 그런가 ..)
각 쿼리마다 알아서 best model을 선택해주는 옵션도 있다.
기본 모델에게 최근 핫한 추론형 모델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해봤다.
“나는 최근 핫한 생성형AI 추론 모델이 무엇인지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하고 있어. 이 리포트를 읽는 대상자가 AI에 대한 어느정도의 지식은 있기 때문에 상세할수록 좋아. 추론모델의 정의부터 기존 모델과의 차이는 무엇인지, 특징과 장단점, 이론적인 부분까지 다뤄줘”
일반적인 질문을 대상으로한 모델이다보니, 가볍고 간단하게 정리를 해줬다. 표를 이용해서 생성형AI와 추론형AI를 비교해준다.
급하게 질의했을 때 금방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 좋은 것 같다.
두번째로, 추론 모델에게 동일한 질문을 했다.
확실히 더 구체적이고 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해준다. 보통 redhat에서 자료를 많이 참고해서 보내준다.
우측에 몇 단계에 걸쳐 결과를 내놓았는지, 각 단계에서 어떤 사고를 거쳤는지 알려준다. 위 질문에 대해서는 29단계의 사고를 거쳤다.
각 단계별로 어떤 키워드로 검색했는지, 어떤 글을 읽었는지 출처와 정보를 남겨줘서 신뢰가 생긴다.
출력된 결과 자체를 활용하지 못하더라고, 추론하는 과정 흐름이나 그 중간중간 셀렉된 자료를 참고하기 좋을 것 같다.
# 3-2. 설정
요즘 워낙 모델 학습이 잘 되어있다보니 한국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잘 대답하지만, 그래도 이상한 언어로 대답하지않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설정 > 환경설정 > 선호하는 응답언어 > Korean(한국어)
이제 힘들다..
다른 기능은 다음 편에서 기술해보겠다.